퇴직하기 전에 경의선이 다시
페이지 정보
작성자 test 작성일25-07-08 18:59 조회3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코레일도라산역장은 “1988년 코레일의 전신인 철도청에 입사해 40년 가까이 철도와 함께했다”며 “남북을 잇는 상징적 장소인도라산역이 마지막 근무지가 될 것 같은데 퇴직하기 전에 경의선이 다시 개통되는 날이 오길 기대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 옥상 전망대에 오르면 철책 너머 북녘땅이 시야에 들어옵니다.
) 왼쪽에는도라산역까지 가는 철도 길로 새로 만들어진 임진강을 건너가는 (길입니다).
"] 한 해 이곳을 찾는 관광객은 약 300만 명.
문을 닫아도 아무 이상이 없죠.
" 금성민도라산역부역장 [촬영 임병식] 경기 파주시 장단면 '민간인출입통제선'(민통선) 내부에 위치한 대한민국 최전방 철도역인도라산역.
함께 대형 야외 전시장, 전시관, 조형예술공원이 조성돼 있어 가족 단위 관광객은 물론 외국인 관광객에게도 인기다.
인근의 '도라산역'과 '도라전망대', '제3땅굴'은 비무장지대(DMZ) 체험 코스로, 분단과 평화의 현장을 직접 보고 느낄 수 있는 장소다.
▲열차가 경기도 파주도라산역으로 들어서고 있다.
/사진=뉴시스 광명역에서 시작되는 'DMZ 평화열차'가 오는 29일부터 운행을 시작한다.
이번에 운행되는 DMZ 평화열차는 KTX광명역을 기점으로 용산역, 일산역, 임진강역또는도라산역에 도착 후 다시 KTX광명역.
경기 파주시 민통선 내에 있는 경의선도라산 역.
문화일보 자료 사진 348억 원의 예산을 들여 전철화한 경의선 셔틀열차(임진강역∼도라산역3.
7㎞)가 운행 3개월 만에 중단돼 혈세 낭비 논란이 일고 있다.
24일 경기도와 한국철도공사(코레일) 등에 따르면, 국가.
남북출입사무소,도라산평화공원, 통일촌, 제3땅굴 등 디엠지(DMZ) 일원의 주요 관광지를 차례로 둘러본 후, 다시도라산역에서 열차에 탑승해 임진강역으로 돌아오는 코스다.
파주시는 지난달부터 디엠지(DMZ) 평화관광 출입 차량 대수를 65대를 90대로 확대하는 등.
지난 5일 광주 남구 통일 열차 탑승객들이 경기도 파주도라산역에 도착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남구 제공 광주 남구의 통일 열차 사업이 흥행 가도를 달리고 있다.
비무장지대(DMZ)를 탐방하는 통일 열차는 지난해 남구가 처음 시작한 뒤 경기도와 전남 장흥군.
2회(1·3주 토요일) 운향 경기도 DMZ 평화열차의 세 번째 여정이 오는 20일부터 시작된다.
이날 열차는 광명역에서 출발해 용산역, 일산역, 임진강역을 경유해도라산역에서 하차한 뒤 민통선 북쪽 지역을 둘러보는 민북관광과 연계해 진행된다.
▲지난 5일 진행된 ‘통일효도열차’에 참석한 광주광역시 남구 시민들이 경기도 파주도라산역앞에서 ‘우리의 소원은 통일’을 부르며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을 염원하는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통일을 염원하는 광주 시민들이 기차를 타고 천리 먼 길을 달려가.